삼성전자 한종희 대표이사 별세, 프로필, 나이, 고향
대한민국 제조업계의 별, 삼성전자 한종희 부회장 별세 소식
2025년 3월 25일, 삼성전자 한종희 부회장(63세)이 갑작스레 별세했다는 충격적인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삼성전자의 공식 발표에 따르면, 한종희 부회장은 주말 중 휴식을 취하던 중 갑작스러운 심정지로 병원에 긴급 이송되었으나, 안타깝게도 회복하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습니다. 그의 갑작스러운 타계 소식은 기업계뿐만 아니라 국내외 경제계에 큰 파장을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한종희 부회장은 삼성전자에서 오랜 기간 몸담으며 삼성의 TV와 가전사업을 글로벌 정상으로 이끈 ‘제조업의 대부’라 불리는 인물이었습니다. 그의 별세로 인해 삼성전자는 물론이고, 한국 제조산업 전반에 걸친 큰 손실이 발생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한종희 부회장 프로필: 인하대학교 출신의 엔지니어 경영인
한종희 부회장은 1962년 3월 15일 충청남도 천안에서 태어나 천안고등학교를 졸업했습니다. 그는 이후 인하대학교 공과대학에서 전자공학 학사 학위를 취득한 후, 1988년에 삼성전자 영상사업부 개발팀에 입사하며 엔지니어의 길을 걸었습니다. 그는 이후 약 30년 넘는 기간 동안 삼성전자에서 오직 TV와 가전 사업부에서 기술 개발 및 경영 분야를 맡아 온 전문 엔지니어 출신의 경영자입니다.
한 부회장은 제품개발그룹, 디지털그룹을 거쳐 2013년 삼성전자 부사장으로 승진했습니다. 이후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개발실장을 맡으며 삼성전자가 글로벌 시장에서 디스플레이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2018년 사장으로 승진하여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을 맡으며 글로벌 TV 시장 점유율 1위를 견인한 장본인이기도 합니다.
삼성전자의 글로벌 도약을 이끈 혁신적 리더십
한종희 부회장은 기술 혁신과 소비자 경험을 중시하는 경영 철학으로 삼성전자 DX(Device eXperience) 부문을 책임져왔습니다. 특히, AI와 IoT, 스마트홈 기술을 접목한 혁신적인 제품 개발로 삼성전자의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대에 결정적으로 기여했습니다.
CES 2022에서 ‘미래를 위한 동행(Together for tomorrow)’이라는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며 삼성의 미래 비전을 제시한 바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QLED TV, 마이크로 LED, Neo QLED 등 첨단 디스플레이 기술을 선보이며 삼성전자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시켰습니다.
또한, 친환경적인 제품 개발과 지속 가능한 기술을 접목한 혁신으로 업계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한편으론, 급격한 제품 개발 일정 단축과 DX부문의 품질 관리 문제로 인해 내부적인 비판도 받아왔습니다.
한종희 부회장의 빛과 그림자: 품질 논란과 내부 갈등
한 부회장의 리더십은 명과 암이 공존했습니다. 2024년부터 DX부문에서 발생한 로봇청소기 품질 문제와 무선 이어폰인 Buds 3 Pro의 품질 관리 이슈는 그의 경영 방식에 대한 내부적인 우려를 키웠습니다. 특히 개발 일정을 압축하는 정책으로 품질 관리에서의 논란이 불거지며, 내부 직원들 사이에서 품질혁신위원장이라는 새로운 직책에 대한 회의감과 비판적인 여론이 형성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그가 삼성전자의 세계적 성장을 견인한 공로는 부정할 수 없습니다. 그는 제조업 분야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제품들을 선보이며, 삼성전자를 글로벌 기업으로 자리 잡게 하는 데 큰 기여를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제조업에 남긴 그의 업적
한종희 부회장이 삼성전자에 남긴 업적은 분명하고도 거대합니다. 삼성전자는 그의 리더십 아래 세계적인 가전 및 디스플레이 기업으로 성장했고, 한국 제조업의 위상을 글로벌 시장에서 크게 높이는 데 성공했습니다. 그의 별세가 앞으로 삼성전자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올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삼성전자의 후임 리더십과 향후 경영 전략이 어떻게 재편될지 업계와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는 가운데, 대한민국 제조업계는 그의 빈자리를 오래도록 기억할 것입니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결론
한종희 부회장의 별세 소식은 삼성전자뿐 아니라 국내 산업계에 커다란 충격과 상실감을 안겨줬습니다. 그는 대한민국 제조업의 발전에 큰 족적을 남긴 인물로, 그가 보여준 혁신적인 기술 리더십과 글로벌 성과는 오랫동안 기억될 것입니다. 그의 빈자리가 클수록 앞으로 삼성전자의 새로운 경영 전략과 리더십 변화에도 관심이 쏠릴 전망입니다.